Mediating Effect of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2017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의 관계에서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438명을 대상으로 평가염려 완벽주의 척도, 학업적 지연행동 척도,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 척도를 포함한 자기보고형식의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학업적 지연행동,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은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다. 결과적으로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이 평가염려 완벽주의의 맥락 안에서 학업적 지연행동에 대해 존재하는 중요하고 가변적인 기여요인일 것이라는 것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