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wth and yield components responses to delayed planting of soybean in southern region of Korea.

2014 
본 연구는 장류용 콩 품종의 논 재배 시 만파에 따른 생육 및 수량성 변이를 검토하기 위하여 경남 밀양에서 2012년부터 2013년에 걸쳐 수행하였다. 이용된 품종은 대원콩, 남풍, 대풍, 새단백, 선유, 우람, 천상, 태광 등의 중만생종품종과 참올, 황금올의 조생종 품종이었으며 6월 20일, 7월 5일, 7월 20일 세 차례에 걸쳐 파종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경장은 중만생종에서 만파할수록 대체로 감소하였으며 조생종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7월 20일 파종 시 분지수는 태광, 대풍, 선유, 참올 등에서 많이 발생하였고 마디수는 우람, 천상에서 가장 많았다. 2. 대부분 품종에서 6월 20일 파종 시에 가장 많은 협수를 기록하였으나 대풍, 우람, 천상은 7월 5일 파종 시에 오히려 협수가 많았다. 3. 만파 시 백립중은 적기 파종과 비교하였을 때 감소하였으며 수량은 적기 파종과 만파 시 모두 대풍, 태광, 우람 순으로 가장 높았다. 4. 만파에 따른 수량감소율은 남풍이 9.6%로 가장 낮아 만파적응성이 가장 높은 품종인 것으로 보인다. 5. 파종기에서 개화기까지의 기간은 파종기가 늦춰지더라도 비교적 일정하였으나 개화기에서 성숙기까지는 만파할수록 크게 단축되었다. 중만생종 중 선유, 조생종 중 황금올은 등숙기간의 단축이 가장 적어 만파에 따른 영향을 가장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Double cropping system including paddy field soybean is widely adopted nationwide, due to rise in market price and its higher income than paddy field rice. Sowing date of soybean as a second crop is being delayed depending on first crop's growth period and harvesting time. Due to the increased temperature in October and delayed first frost date, soybean could be harvested without frost damage even in late-plating. Therefore, selection of soybean cultivar which is appropriate for this environment is very important. The effect of sowing date and genotype of soybean on growth and yield was investigated for three planting dates (June 20, July 5, and July 20) with ten cultivars developed for soy-pate production, to figure out plant development and yield pattern in delayed planting. As planting date is delayed, plant height and pod number was decreased and this pattern was more clearly detected in mid-late maturity cultivars. Hundred-seed weight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s even in late planting, due to compensations between yield components. Yield reduction of July 20 in contrast to that of June 20 showed that Nampung (9.6%) showed the least yield decline. Maximum yield was achieved from Daepung, Taekwang, and Uram among other soybean cultivars in late planting. Shortening of growth period was strongly detected in reproductive stage while length of vegetative stage was regularly maintained in both early and mid-late maturity cultivars.】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23
    References
    2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