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tioxidant activities of B. campestris var. chinensis and B. juncea L. Czern var. Laciniata Makino baby leaf extracts

2019 
본 연구에서는 청경채, 경수채 어린잎을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활용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청경채와 경수채 어린잎의 항산화 활성 및 성분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청경채와 경수채 어린잎 추출물을 이용하여 DPPH 라디칼 소거활성, ABTS 라디칼 소거활성, FRAP 활성, 총 페놀 함량, 총 클로로필 함량,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 측정과 ORAC 지수 측정을 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 ABTS 라디칼 소거활성, FRAP 활성 측정 결과 청경채와 경수채 어린잎 추출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총 페놀 함량 측정 결과, 청경채와 경수채 어린잎 추출물에서 각각 14.66±0.11, 15.92±0.29 mg GAE/g으로 측정되었다. 총 클로로필 함량 측정 결과, 청경채 어린잎 추출물의 총 클로로필 함량은 9.26±0.09 μg/mL, 경수채 어린잎 추출물의 총 클로로필 함량은 6.48±0.11 μg/mL이었다.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 측정 결과 청경채와 경수채 어린잎 추출물에서 각각 1.62±0.01 μg/mL, 1.09±0.02 μg/mL로 청경채 추출물의 카로티노이드 함량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ORAC 지수를 측정한 결과 청경채와 경수채 어린잎 추출물 각각 928.4±17.7, 987.2±20.3 μM TE/g의 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청경채와 경수채 어린잎의 항산화 기능성을 확인하고 생리활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성분들의 함량을 측정함으로써 체내에서 산화적 손상에 대한 방어기전을 향상시키는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의 이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29
    References
    1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