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ediating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Adolescents’ Parental Empathy and Emptiness

2021 
본 연구는 후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공감과 공허감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것이다. 남녀 후기 청소년 356명을 대상으로 지각한 부모 공감 척도, 공허감 척도, 내현적 자기애 척도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세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추정하고, 요인 간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최대우도법을 사용하여 요인의 모수를 추정하였다. 그리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검정을 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지각한 부모 공감이 높을수록 공허감이 낮았고, 내현적 자기애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내현적 자기애가 높을수록 공허감의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는 지각한 부모의 공감과 공허감의 관계에서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부모의 공감과 내현적 자기애의 중요성을 밝히고, 공허감을 경험하는 후기 청소년에 대한 상담적 개입과정에 더 넓은 시각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