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야외 관찰 학습에서 초등학생의 관찰 능력과 과학 창의성의 관계 분석

2021 
본 연구는 식물 야외 관찰 학습에서 초등학생의 관찰 능력과 과학 창의성의 관계를 알아보고, 관찰 능력 및 과학 창의성의 수준에 따라 초등학생을 유형화하였을 때, 유형별로 어떤 특징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K초등학교의 5학년 학생 22명을 대상으로 학교 화단에 있는 2가지 식물을 관찰하게 한 후, 작성한 관찰 기록과 그에 대한 해석에서 나타난 과학 창의성을 분석하였다. 관찰 능력 평가 방법은 학생들이 생성한 관찰 지식을 다양도, 객관도, 정보의 차원 수 측면에서 수준에 따라 나누는 평가를 하였다. 과학 창의성 평가는 학생들이 관찰한 식물의 특징이 식물이 살아가는데 또는 번식하는데 이로운 점을 작성한 것을 바탕으로 독창성과 유용성의 측면에서 과학 창의성 평가 공식을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관찰 능력과 과학 창의성 수준에 따른 유형별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와 면담을 통한 정성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이 작성한 관찰 기록을 바탕으로 관찰 능력을 수준에 따라 나누었을 때, 학생들의 감나무에 대한 관찰 능력 수준과 참나리에 대한 관찰 능력 수준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갖고 있다. 둘째, 초등학생들의 과학 창의성 평가 결과, 학생들의 감나무에 대한 과학 창의성 점수와 참나리에 대한 과학 창의성 점수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갖고 있다. 셋째, 초등학생들의 관찰 능력 수준과 과학 창의성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갖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관찰 능력과 과학 창의성의 관계 및 관찰 능력과 과학 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의 본질을 밝힘으로써 이들의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과학학습 방법과 환경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