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문법 재구성을 통한 학교혁신의 목표와 전략

2019 
능력주의를 바탕으로 한 근대사회를 유지하기 위해 학교는 문법과도 같이 견고한 제도적 통제 장치를 발달시켜왔다.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을 위시한 사회적 변화 속에서 기존의 학교문법을 재구성하기 위한 목표와 전략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교육개혁이나 학교변화를 위한 기존의 문헌을 정리하여 학교변화의 성공을 위한 원리와 조건을 정리하였다. 교육의 도덕적 목적과 담대한 목표, 목표 및 정책 형성 과정의 민주성, 교사의 역할 재규정을 통한 혁신의 주체화, 린스타드업 모델과 학습조직화를 통한 혁신안의 정교화, 중간리더십과 네트워크 지원, 총제적 변화 등이 그것이다. 다음으로 이 연구에서는 학교문법의 전환을 위한 목표와 실행 조건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혁신학교와 같은 기존의 정책이 갖는 성과를 인정하면서도 기존의 노력이 미시적이고 기술적인 측면의 혁신으로 감환되고 있음에 주목하면서 학교교육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중심으로 학교문법 전환의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존엄의 공동체, 민주주의의 정원, 삶의 배움터, 실험과 상상의 플랫폼을 키워드로 학교의 문법을 재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는 전망 및 의미 공유 체제의 구축 등을 비롯해서 학교문법 재구성을 위한 조건들을 제시하였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