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동석을 이용한 제련 실험 및 부산물의 분석 연구

2014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전통 방식에 따른 동제련 실험이 이루어진 적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에서 시행된 실험을 참고하여 황동석 제련 실험을 시행하였으며, 각 단계별 부산물을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제련 실험을 검토하였다. 제련 실험의 재료 및 부산물은 WD-XRF, SEM-EDS 분석을 통해 성분분석 및 미세조직을 분석하였다. WD-XRF 분석 결과, 황동석의 황 성분은 35.99%로 높았으며 이를 제거하기 위해 배소 작업을 시행하였다. 배소 후 20.63%로 황 성분이 감소하였으나 그 차가 크지 않으므로 배소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유출재와 노내재에 대한 금속현미경 및 SEM-EDS 분석 결과, 유출재와 노내재 모두에서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분석시료는 모두 유리질 바탕에 밝은 색의 구리로 추정되는 물질이 확인되었으며, EDS를 통해 구리로 추정되는 물질의 성분을 측정한 결과구리와 철, 황이 혼합되어 있는 산화물질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시행된 황동석 제련실험은 매트 형성 과정까지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며 실험을 통해 얻은 매트에는 여전히 황과 철 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으므로 동을 얻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매트의 배소, 환원, 슬래그 형성 등의 과정이 필요하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