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Effect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in Association Among Adventurous Spirit, Curiosity, and Resilience of Adolescents

2018 
본 연구는 청소년의 모험심, 호기심, 리질리언스 간의 관계에서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를 이론적 모형 구축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 소재 중 · 고등학교 각 2개교 528명의 응답을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및 부트스트랩을 통해 실시한 연구결과는 첫째, 청소년의 모험심, 호기심, 리질리언스,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의 인과적 관계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는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호기심은 리질리언스에 직접적인 정적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모험심은 리질리언스에 직접적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리질리언스에 대한 모험심의 영향력이 확인되었다. 셋째, 모험심과 리질리언스, 호기심과 리질리언스의 관계에서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의 부분매개와 완전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모험심, 호기심, 리질리언스의 관계에서,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이 중요한 역할을 지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심리 · 사회적 적응 뿐만 아니라 창의적 인성 함양에 대한 교육의 방향성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