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Fracture-Type Protector for a Launching Reconnaissance Robot

2012 
은 주행기능을 포기하고 대신 360˚회전이 가능한 카메라만을 장착한 저가의 구형 정찰로봇으로서 사람의 힘을 이용한 투척이나 높은 지역에서의 투하방식으로 상대방의 점거지역에 대량으로 침투시켜 정찰활동을 수행한다. 다수의 로봇 군집들이 정보를 수집하므로 다양한 수집활동이 가능하며 일부 로봇의 기능이 상실되어도 전체 정찰업무가 실패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단순 로봇하드웨어에 추가적으로 주행기구를 장착한 Key Words: Launch-Reconnaissance Robot(발사형 정찰로봇), Fracture-Typed Protector(파단형 보호체), Shock Experiment(충격 실험), Finite-Element Modeling(유한요소 모델링) 초록: 본 논문은 원거리에 떨어진 작전지역으로 정찰로봇을 발사하여 투하하기 위해서 필요한 파단형 보호체에 대한 개발내용을 제시한다. 실제 전장에서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기존 외피 전개를 위한 기구사용을 배제하고 체결부의 파단에 의해서 보호체의 외피가 개방되는 방식을 채택하여 소형, 경량을 이루었다. 보호체와 정찰로봇의 유한요소 모델링을 통해서 주어진 하중조건에 맞추어 체결부의 파단이 이루어지는지 전산모의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낙하시험기를 이용한 충격실험을 통해서 충돌에 대한 보호체의 충격흡수성능을 분석하였다. 실제 외부환경에서의 100m 발사시험을 통해서 제안된 보호체가 정찰로봇을 탑재하여 정해진 지점으로 비행·도착한 후 안전하게 정찰로봇을 이탈시킴을 확인하였다.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the development of a fracture-type protector for carrying a reconnaissance robot to a remote target area. Instead of a conventional unlocking mechanism, a separation method based on the fracture of assembled parts was implemented in the proposed lightweight protector in order to improve the feasibility for a real battlefield. Simulations using the finite element model of the protector and the robot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fracture under the given loading conditions, and shock experiments using a drop table were performed to calculate shock transmittance through the protector to the robot. Several field tests for a 100-m flight proved that the proposed scenario (launching, flying, landing, and separation) was achieved successfully.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4
    References
    1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