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ustic observation of the behavior of fish in an artificial reef

2014 
우리나라는 200 해리 배타적 경제수역 설정 , 연안 해역의 환경오염 , 어민들의 남획 등으로 인하여 연근해 수산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생태기반 조성을 위한 인공어초 시설과 직접적인 자원 조성을위해 종묘 방류를 기본으로 하는 바다목장 사업을 적극적으로 수행하여 왔다 . 이와 같이 자연적인 서식지에인공어초를 투하하여 인공적인 서식지를 제공해 줌으로써 변화하는 수산자원의 현존량 평가가 필요하다(Godoy et al ., 2002; Carr and Hixon , 1997; Kang et al .,2011 a; 2011 b; 2011 c). 우리나라에서는 인공어초 설치 효과에 관한 연구가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Lee and Kang (1994), Kim et al .(2010), Yoon et al . (2011), Park et al . (2013) 는어구를 이용하여 인공어초 주변에 서식하는 어종 및현존량을 평가하였고 , Lee (2011; 2013), Oh et al . (2010) 는잠수 및카메라 조사를 통하여 인공어초 내부나 주변에 서식하는어종을 확인하였다 . 뿐만 아니라 Hwang et al . (2004),Kang et al . (2008), Kim et al . (2011), Lee et al . (2012), Lee(2013) 은계량어군탐지기를 이용하여 인공어초 주변에서식하는 어류의 시·공간 분포 및위집 효과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 어구 조사는 어종을 명확하게 파악할수있으나 인공어초와 같은 구조물에 의해 어구 설치에관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 잠수 조사와 수중 CCTV 및카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25
    References
    1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