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Basic Psychological Needs, Motivation, Exercise Flow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of Women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Exercise

2020 
본 연구의 목적은 자결성 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과 내적동기와 외적동기의 위계적 동기모형(Hierarchical Model of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HMIEM)을 바탕으로 운동에 참여 중인 여대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기본심리욕구, 참여동기와 운동몰입 및 운동지속의도의 순차적인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인천에 소재한 2개의 여대에서 사회체육센터 운동 수업에 참여 중인 여대생 350명의 자료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으로 신뢰도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AMO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사회적 지지는 자율성, 관계성, 유능성 모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본심리 욕구 하위변인 모두 내적동기에 정적 영향을 보인 반면, 관계성만 외적동기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적동기는 운동몰입과 운동지속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친 반면, 외적동기는 운동몰입에만 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즉 사회적 지지는 기본심리욕구를 높이고 이는 내적동기를 향상시켜 운동행동결과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운동참여율이 저조한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운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동기화된 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회적 지지의 역할을 규명할 수 있었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