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과의 면담을 통한 인지·정의적 성향, 환경, 과학 지식, 탐구 기능과 과학 창의성의 관계 탐색

2021 
본 연구에서는 과학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과제를 개발하고,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13명을 대상으로 과제를 투입하여, 학생들이 수행한 결과에 따라 면담을 진행할 표본을 선정하였다. 과제의 주제는 초등 과학 생명 영역이며, 과제에서 학생은 과학 지식, 탐구 기능(관찰), 발산적 사고, 수렴적 사고, 연관적 사고를 수행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마지막으로 과학 창의성을 발휘할 문제를 해결하였다. 과학 창의성 문제에서 113명 중 점수가 가장 높은 학생 4명과 가장 낮은 학생 4명을 선정하여 면담을 수행하였다. 점수가 가장 낮은 학생들의 경우, 지식, 관찰, 창의적 사고 기능 관련 문제는 잘 수행하였으나, 마지막 과학 창의성 문제에서는 낮은 결과를 나타낸 학생으로 선정하였다. 면담은 10분씩 3∼4차에 걸쳐 수행하였으며, 면담의 내용은 학생의 인지·정의적 성향, 가정 환경 및 학교 환경, 과학 및 창의성에 대한 생각 등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으로 진행하였다. 면담 후반부에는 학생의 과제물을 보여주고, 최종 아이디어를 내기까지 어떤 과정을 거쳤는지, 그 결과가 나오게 된 이유에 대해 구체적으로 질문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창의성 상위 수준의 학생들은 독서를 자발적으로 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둘째, 과학 창의성 상위 수준의 학생들은 부모, 선생님과 같은 성인이나 친구들의 말을 비판적으로 듣는다. 셋째, 과학 창의성 상위 수준의 학생들은 과학에 대한 흥미 정도가 서로 달랐지만, 동물, 식물과 같은 생명 영역에 공통적으로 관심이 있었다. 넷째, 과학 창의성 상위 수준의 학생들은 허용적인 분위기의 가정에서 자라고 있다. 마지막으로 과학 창의성 상위 수준의 학생들은 창의성을 발휘하는 과제를 할 때, 기존에 갖고 있던 지식 혹은 과제 속 생물을 관찰하는 것에 의존하여 수행하는 경향을 보였다. 과학 창의성 하위 학생들의 경우, 자신감 결여 혹은 허용적이지 않은 분위기의 가정환경이라는 공통적 특징이 있었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