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 회귀 분석을 이용한 한자 난이도 예측 기법 연구

2019 
한자 급수와 같이 기존 한자 난이도 선정 방식에 문제점이 있다. 실생활에서 쓰이는 한글 단어와 차이가 나며 해당 급수가 실제로 얼마나 많이 쓰이는지 알 수가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빈도수를 이용하여 다중 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한자 난이도를 측정한다. 초등 교과서를 기반으로 한자활용빈도수와 한글의미빈도수를 집계한다. 두 빈도수와 획수를 함께 사용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여 해당 한자의 학습 적정 시기를 답변 받아 이를 회귀에서 사용할 타겟 변수로 이용한다. 단계별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적절한 피처를 선택하고 다중 선형 회귀 분석을 한다. 모델의 R2는 0.1105가 나왔으며 RMSE는 0.1105의 결과가 나왔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