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uence of Post-traumatic Stress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Firefighters: Moderating Effect of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2020 
본 연구의 목적은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외통제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도, 충청북도에 소재한 소방공무원 297명이었다. 자료의 주요 분석방법은 분산분석과 회귀분석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외상 후 스트레스가 50대 소방공무원이 30대 이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적 통제성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었다. 셋째,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외적 통제성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었다. 넷째, 내적 통제성은 모든 모형에서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이직의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외상사건을 스스로 통제가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내적 통제성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