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racteristics and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Fish Schools during Summer in the Marine Ranching Area (MRA) of Yeosu using Acoustic Data

2014 
바다목장은 인공어초 주변에 수산자원의 산란 및 서식장으로 제공하여 수산자원을 보존하고 육성 할뿐만 아니라 인위적인 가입을 유도하여 수산자원을 증대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1998년 통영의 어업형 바다목장을 시작으로 하여 2001년 이후 여수의 다도해형 바다목장, 울진의 관광형 바 다목장, 태안의 갯벌형 바다목장, 제주의 체험관광형 바다목장 으로 시범 바다목장을 5개 해역에 조성하였다. 이와 같이 조성 된 바다목장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바다목장에 인 공어초를 시설함으로써 나타나는 효과를 지속적으로 평가하여 야 한다. 인공어초 주변에서 서식하는 수산자원의 평가는 어구, 잠수, 수중 카메라, CCTV 카메라, 수중 음향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 지고 있으며(Fabi and Sala, 2002; Hwang et al., 2004; Kang et al., 2008; Yoon et al., 2011; Kim et al., 2010; Oh et al., 2010; Kang et al., 2011a; 2011b; 2011c; Kim et al., 2011; Lee, 2011; Lee et al., 2012; Lee, 2013), 이 가운데 어구 조사는 어종을 명 확하게 규명 할 수 있는 장점은 가지고 있으나, 여러 정점을 조 사하기 위해서는 조사 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전체 해역 음향 자료를 이용한 하계 여수 바다목장 해역에서 어군의 시·공간 분포와 특징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25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