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act of Olympic Broadcasting on Audience Fragmentation and Polarization : An Examination of the Social Integration Function of Sports Broadcasting Through Network Analysis

2016 
본 연구에서는 매체가 다양해지고 전달되는 콘텐츠 또한 광범해지면서 파편되고 분극된 최근의 방송 환경 속 스포츠 콘텐츠의 사회통합적 기능을 실증적으로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용자 중심으로 접근하여 채널 간 중복시청률 자료를 바탕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2014 소치 동계올림픽 기간의 수용자 파편화와 분극화 현상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평상시에 비해 올림픽 기간 중에 수용자 파편화 현상이 완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평상시보다 올림픽 기간의 전체 채널 네트워크 집중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올림픽 중계방송 채널인 KBS1, KBS2, MBC, SBS를 제외한 비올림픽 채널 네트워크 집중도는 올림픽 기간보다 평상시가 높게 나타났으며, 올림픽 채널로 인한 네트워크 집중도 증가의 정도 차이는 올림픽 기간에 올림픽 채널에 의한 집중도 지수 상승 정도가 평상시와 대비하여 높았다. 또한 올림픽 채널들의 중심성도 평상시에 비해 올림픽 기간 중 높게 나타나면서 올림픽 기간에 수용자들은 올림픽 중계 채널을 중심으로 시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평상시와 비교하여 올림픽 기간의 네트워크 하위그룹 수가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나면서 올림픽 기간에는 평상시 대비 수용자의 분극화 경향 또한 완화되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담론 형태로만 논의되어 왔던 스포츠방송의 사회통합적 기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데에서 의미가 있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