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logical Examination of Tissue Isolated from Fascia with a View of Meridian System

2006 
동양의학 이론의 주요 관심사인 경락의 연구에 있어 생체 내 신호전달 체계와 해부학적 실체에 대한 단서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1960년대 이루어졌던 봉한학설의 이론과 문헌을 근거로 하여 토끼의 복막에 존재하는 봉한관으로 생각되는 반투명의 회백색의 탄성이 있는 섬유상 구조물을 분리하여 조직학적으로 관찰하였다. 각 조직 샘플은 봉한관 확인을 위하여 hematoxylin eosin과 Masson's trichrome 염색, 교원섬유는 Van Gieson's 염색, 신경은 Kluver Barrera's luxol fast blul 염색을 하여 비교함으로써 구성성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광학현미경상에서 관찰된 조직들은 교원섬유와 신경으로 구성된 집합체였으며 다발의 형태를 이루고 있었고, 여러 개의 myoid spindle형태의 세포들이 종으로 배열되어 있었다. 이러한 세포들은 신경의 슈반세포이며 봉한관의 myoid형태의 세포들과 같은 소견이었다. 같은 부위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잘 배열된 교원섬유와 신경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신경다발 사이로 교원섬유가 둘러싸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복막에 존재하는 봉한관은 교원섬유와 어우러진 신경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신경과 어우러져 존재하는 교원섬유의 절연성과, 침의 치료에 있어 교원섬유가 주위의 신경과의 신호전달 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점을 고려하여 볼 때 교원섬유와 신경 그리고 혈관의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교원섬유의 새로운 역할 규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threadlike structures of fascia were examined by tight and electron microscopy. In order to distinguish its tissue organization, we used staining methods including hematoxylin-eosin, Masson's trichrome, Van Gieson's collagen fiber stain and Kluver-Barrera's luxol fast blue for nerve stain. Under the light microscope, the threadlike structures were composed of many collagen fibers and nerve. In higher magnification, they looked like as the bundle of tubular structures. Many myoid cell-spindle nuclei were observed in the tissue, which were taken from the fascia. It was identical with Bonghan duct known as one of meridian network theory. In the early 1960's the North Korean Bong-Han Kim showed the anatomical structures of the acupuncture points, and explained the meridian system as the concrete duct network system. According to Bonghan theory the Bonghan ducts spread throughout the body Because it is believed that the duct could have the role of signal pathway, the theory was reinvestigated in these days. All of the threadlike structures isolated from fascia shows the abundance of collagen fibers. The electron microscope examination (TEM) could confirm the well arranged collagen fiber and nerve. This investigation reveals that superficial Bohghan duct are nerve fiber parallel running with collagen fibers. We conjectured that the intermingled structure of collagen fiber, blood vessel and nerve fiber might have the role of meridian system. And the more, regardless of histological research, the study on collagen fiber as response transmitter in acupuncture treatment are in need.】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16
    References
    2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