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ification of Families involved in Korean Child Protection Services and their Characteristics by Developmental Stage

2020 
아동학대 개입에는 학대가 발생한 가정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별 특성을 총체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정은 아동의 생활세계이자 현 아동보호체계의 실질적인 서비스 개입지점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간의 논의들은 피해의 유형과 빈도 및 심각성과 같은 피해특성을 중심으로 아동학대를 이해해왔다. 본 연구는 국가아동학대정보시스템 중 가정 내 발생 학대사례를 피해특성과 학대행위자의 심리사회적 특성으로 유형화하고, 피해아동 발달단계에 따라 이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영유아기·아동전기 및 후기·청소년기의 사례에서 고위험 수준의 피해특성과 가정의 심리사회적 문제가 동시에 출현하는 집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신체학대와 중복학대 및 알코올과 가정폭력 문제들이 중복된 집단과, 단일유형의 학대라 하더라도 전술한 가족문제를 가진 집단들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행위자의 양육관련 스트레스와 아동 내재화와 외현화 문제 및 재학대발생의 빈도가 높았다. 본 연구는 이를 토대로 학대발생가정에 대한 이해와 후속 서비스 지원에 관한 이론적, 정책적 함의를 논하였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