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험학습모드에 기반한 학습스타일 유형분석

2021 
본 연구는 다양성과 개인별 맞춤화 학습이 강조되는 AI 시대에 변혁적 역량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해 학생들 각각의 학습스타일별에 맞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Kolb의 경험학습모드에 기반하여 학생의 학습스타일 확산형, 동화형, 수렴형, 적용형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학습스타일의 조사는 A시 S중학교 1학년 학생들(남학생 52명, 여학생 53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먼저, 학생들의 경험학습모드를 알아보기 위한 사전 설문을 통하여 학습자가 선호하는 경험학습모드의 순위를 1부터 4까지 설문지에 기술하도록 하였다. 설문을 통해 얻은 측정치로 학습스타일의 경험학습 구성모드를 학생별로 계산하고, 결정 조건을 통해 학습스타일을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학생들의 설문을 기반으로 한 S중학교 학생들의 학습스타일은 확산형(Divergent)이 46명으로 가장 많은 인원을 차지하였다. 두 번째로 많은 인원은 적용형(Accommodating)으로 26명이었다. 세 번째는 동화형(Assimilative)으로 17명이었고, 마지막으로 가장 작은 인원의 학습스타일은 수렴형(Convergent) 16명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배우는 방식의 선호도에 따라 경험학습모드를 구분하여 학생들의 학습스타일을 분류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에게 경험학습모드를 설문으로 진행하기에는 문항의 해석에 어려움이 있어 파일럿의 개념으로 중학생에게 먼저 적용하였다. 추후, 초등학교 3∼4학년군과 5∼6학년군을 대상으로 연구하기 위해 초등학생들이 이해하기 쉬운 게임유형의 검사방식을 개발하고 적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의 의미를 두었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