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 충동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2021 
낙인이론에 따르면 일탈이라는 것은 행위자의 내적 특성이 아니라 주위로부터 의 낙인에 의해 만들어진다고 한다. 즉 사회적 낙인감으로 인하여 일탈적인 행위 나 부정적인 행동을 일으킬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학교밖 청소년의 경우 학업을 중단했다는 사실 그 자체로 쉽게 낙인이 대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의 사회 적 낙인감은 부정적인 행동인 충동성이나 게임중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뿐만 아니라 많은 연구에서 충동성과 게임중독과의 관계가 있다고 보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낙인감이 충동성 및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며 사회적 낙인감이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충동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 낙인감은 충동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충동성은 게임중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낙인감은 게임중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낙인감은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치며 그 과정에서 충동성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매개효과의 검증을 위하여 붓스트래핑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사회적 낙인감은 충동성을 매개하여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