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EBDT(Emotional & Behavioral Drawing Test) as Predictable Variables of Smart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2020 
본 연구는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을 예측하는 선별도구로서 청소년 정서행동 그림검사(EBDT)의 활용가치를 밝히고 나아가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에 나타난 그림반응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고등학교 3곳의 재학생 1∼2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769부를 연구자료로 사용하 였다. 연구도구는 스마트폰 자가진단척도(S-척도)와 한국판 청소년 자기 행동평가 척도(K-YSR), 청소년 정 서행동 그림검사(EBDT)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EBDT 하위변인과 주요 변인과의 상관분석 실시 후, 위계 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EBDT의 스마트폰 중독 예측력을 검증하였다. 또한, 중독 위험군과 일반 사용자군의 선별을 위한 설명력을 탐색하기 위해 절단점을 구분하여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중독 위험군의 그림반응 특성에 대한 질적 해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EBDT의 하위 변인인 ‘내면적 위축’과 ‘적대적 표출’이 스마트폰 중독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면적 위축’은 중독 위험군과 일반 사용자군을 선별할 수 있는 고유한 설명력을 지니고 있었다. 그림반응 특성의 차이로는 중독 위험군은 신체적으로 무기력하며 위축 되고 타인에게 방관적인 태도를 보이며 현실 회피적이라는 3가지 반응이 나타났으며 ‘힘없는 나무’, ‘칼’, ‘굴뚝’ 자극 그림만 스마트폰 중독척도의 하위 변인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 선별에 있어 투사적 그림검사가 가진 유용성을 확인하였으며 청소년 정서행동 그림검사(EBDT) 가 기존 객관적 자기 보고형 검사로만 제공되던 스마트폰 중독척도의 한계를 보완하여 청소년들의 문제행동 을 예방하고 적절한 치료목표를 설정하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