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반추가 지각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처유연성의 매개효과

2020 
본 연구에서는 대처유연성이 반추와 지각된 스트레스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북 소재의 5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부터 4학년의 대학생 331명을 대상으로 대처유연성 질문지(COFLEX),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SS), 한국판 반추적 반응 양식 척도(K-RRS)를 실시하였다. 그 중에서 무응답 및 불성실한 응답을 한 26명을 제외한 305명을 대상으로 기술 통계 및 상관분석, 위계적 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반추와 지각된 스트레스, 대처유연성은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대처유연성의 하위 요인인 지각된 대처자원과 대처행동 유연성은 반추와 지각된 스트레스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였으나 대처행동평가는 반추와 지각된 스트레스의 관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각된 스트레스의 완화를 위해 대처유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