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을 경험한 여성의 외상 후 성장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2021 
최근 외상의 개념이 개인의 심리적 경계를 허물어 정서적인 상처를 주는 생활 사건을 비유 할 때에도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질적 사례 연구는 이혼을 외상으 로 경험한 여성이 외상 후 성장을 위한 미술치료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였고,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를 위해 약 15년의 결혼생활을 마치고 조정 이혼을 한 지 6개월가량 된 만 41세 여성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2020년 7월 16일부터 8월 20일까지 총 12회기로, Calhoun과 Tedeschi의 ‘외상 후 성장 모델’과 Rich가 개념화한 이혼 과정 발달모델을 토대로 구성되었다. 참여자의 미술 작품, 축어록, 관찰 일지 등 다양하게 수집된 자료를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참여자의 경험은 ‘이혼으로 인해 경험하는 감정을 마주하고 인식함’, ‘이혼이 나에게 주는 의미를 발견함’, ‘과거 를 수용하고 미래를 구체화하며 스스로 살아갈 힘이 생김’으로 총 3개의 상위 범주와 10개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외상 후 성장을 위한 미술치료가 이혼을 경험한 여성이 이 혼으로 인한 심리적 고통을 정화하고 자기 수용을 통한 심리적 재건 및 삶을 재정립하는 데 치료적 의의가 있음을 확인한 데 의의가 있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