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제 대학생용 정서·성격적 진로문제(EPCD) 척도 타당화 연구

2014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상담연구와 개인상담에 이론적·실천적 활용이 가능한 EPCD(Emotional and Personality Difficulties) 검사를 타당화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원척도의 문항들을 3차에 걸쳐 번안하여 상담전공 교수의 검토를 거친 후 서울·경기·충청·전라 소재 대학생 482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정서·성격적 진로문제(EPCD) 예비척도는 37문항의 3개영역, 7개 하위영역으로 나타났으며 신뢰도 분석결과 전체 내적합치도(Chronbach a) .957로 본 검사가 신뢰할 수 있는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둘째, 정서·성격적 진로문제(EPCD)의 적합한 모형을 확인하기 위해 대학생 337명을 대상으로 경쟁모형 평가방법에 의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정서·성격적 진로문제(EPCD)은 7영역 3차 위계모형이 가장 안정적인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공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진로사고, 진로결정수준, 진로결정 수준과 각각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났으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정서·성격적 진로문제(EPCD) 척도가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