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식형 뮤추얼펀드의 스타일, 성과 및 시장예측 능력에 대한 분석

2012 
본 연구는 채권시장 요인이 포함된 Fama-French(1993) 5요인 모형을 사용하여 국내 주식형펀드의 스타일분석, 스타일에 따른 성과분석, 펀드매니저의 시장예측능력, 스타일의 지속성과 펀드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논문의 주요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1년부터 2009년까지 생존한 펀드의 수익률을 바탕으로 추정한 결과, Fama-French 5요인 모형은 다른 모형에 비해 높은 적합도와 낮은 추적오차를 나타내고, Fama-French 5요인 모형에서 채권시장요인은 펀드 수익률 설명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둘째, 국내 시장에서 대형 및 성장형 펀드의 수익률이 소형 및 가치형에 비해 높고, 평균 자금흐름 규모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부분의 국내 펀드는 일반적인 시장 포트폴리오에 비하여, 가치형, 대형, 경기민감형 및 고신용형 전략에 집중하는 공격적 스타일 특성을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국내 시장에서 초과수익률이 존재하는 펀드가 일부 존재하였으나, 시장예측능력이 존재하는 펀드는 매우 적었다. 다섯째, 우수한 초과수익률을 보인 성장형 및 대형 펀드의 스타일 지속성은 가치형 및 소형 펀드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섯째, 국내 시장에서 자금흐름 증대로 펀드 성과 개선되는 ``스마트 머니 효과``가 존재하지만, 동 효과의 지속기간은 3년 전후에 국한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