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 마음챙김 명상이 기능성 소화불량증 경향 여대생들의 상복부 소화기 증상, 스트레스,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2020 
이 연구의 목적은 정서 마음챙김 명상이 기능성 소화불량증 경향 여대생들의 상복부 소화기 증상, 스트레스,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ROME Ⅲ 기준을 통해 기능성 소화불량증 증상 경향 여대생을 선정하여 정서 마음챙김 명상 집단에 16명, 스트레스 관리 집단에 14명이 최종 분석 결과에 포함되었다. 정서 마음챙김 명상 집단은 정서 마음챙김 프로그램을 주 2회 3주간 총 6회기를 참가했고, 스트레스 관리 집단은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을 동일한 기간 동안 동일한 회기로 참가했다. 측정도구로는 상복부 소화기 증상 척도(NDI-K), 스트레스 반응 척도(SRI), 통합적 한국판 우울척도(CES-D), 상태-특성 불안 척도(STAI-S, STAI-T), 한국판 개정된 인지적 및 정서적 마음챙김 척도(CAMS-R), 심리적 수용 척도(AAQ-16)를 사용했다. 분석 결과, 정서 마음챙김 명상 집단은 스트레스 관리 집단에 비해 STAI-S를 제외한 NDI-K, SRI, CES-D, STAI-T의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했다. 추후에도 NDI-K, SRI, STAI-T의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여 정서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의 효과가 지속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즉, 정서 마음챙김 명상은 기능성 소화불량증 증상 경향 여대생들의 상복부 소화기 증상과 스트레스, 우울, 불안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