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촉매(TiO2) 블록에 의한 대기 중 질소산화물 저감량 추정에 관한 연구

2017 
도시의 대기오염물질 중 도로이동오염원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은 기여도가 크기 때문에 이동오염원에서 배출되 는 오염물질 제어에 관한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도로이동오염원의 영향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는 서울의 경우, 도로이 동오염원에서 배출되는 NOX의 관리가 필요하다. 그동안 광촉매(TiO2)를 이용하여 NOX를 저감하는 많은 선행연구가 진 행되었지만 주로 고농도의 실험조건에서 이루어졌고, 대기 중의 농도 수준에서의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 에서는 대기 중의 NOX 농도를 대상으로 TiO2의 저감 효과를 추정하였다. 연구 결과, 초기 NOX 농도와 UV 세기에 따라 TiO2의 효과가 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초기 NOX 농도와 UV 세기에 따른 NOX 저감량 추정식은 다음과 같다. Reduction (μg/m2·h) = 1125 × C0(1-e-60k) 여기서, lnk = 0.334C+0.665E-2.901 [k: 반응속도상수 (min-1)] C = lnC0 [C0: 초기 NOX 농도 (ppm)] E = lnI [I: UV 세기 (mW/cm2)]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