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경기도 폐기물 발생량 예측

2019 
환경관리 기본계획의 목적은 과거 단순한 환경오염의 개선에서, 현재는 환경과 경제의 상생, 균형발전 및 환경용량기반 수용체중심 통합관리로 점진적인 패러다임이 변화하였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우리나라는 지속가능한 자원순환형 경제사회기반 확립이라는 목표로 국가폐기물 관리종합계획을 수립하게 되었고, 이는 각 지방자치단체 폐기물관리 계획의 근간이 되어왔다. 폐기물관리 계획은 향후 10년간의 폐기물 관리에 관한 예측과 대책을 수립하는 것으로써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장래 발생량의 예측이다. 발생량 예측은 해당 지역의 폐기물 분포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며, 예측된 발생량에 따라 감량화와 처리방법, 처리계획이 수립된다. 경기도 역시 폐기물 관리 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나, 다양한 산업형태가 공존하는 도농복합도시특성 및 시군별 인구수의 상이함의 결과로 생활폐기물 발생량 예측에 적용은 한계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경기도의 다양한 특성과 여건을 고려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지역별 폐기물 발생량의 차이는 도시의 공간적 특성, 개인의 생활수준, 학력과 의식 등 복잡한 요소들이 반영된 결과이며, 특히, 이들 특성 중 인간의 활동에 의한 영향이 크므로 생활 폐기물 발생량 예측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인구학적 요소 및 사회경제적인 요소가 고려되어야 한다. 기존의 경기도 생활폐기물 발생량 예측은 도(道) 단위로 예측하여, 경기도지역의 도시특성 즉, 다양한 예측변수를 고려할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지표가 경기도의 생활폐기물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도출된 다중회귀식을 이용하여 발생량을 예측하여, 폐기물 관리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