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의 코칭행동이 조직구성원의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피드백 추구행동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2020 
최근 코칭행동에 관한 연구는 주로 조직몰입과 조직 만족 등의 성과향상을 위한 조직 유효성에 한정되었고, 코칭행동의 결과 변인으로 개인 의 창의적 행동과 다양한 매개 변인과의 효과를 실증한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관리자의 코칭행동이 조직구성원의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피드백 추구행동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조직구성원의 주도적 문제해결 능 력과 역량향상을 지원하고 촉진하는 관리자의 코칭행동이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피드백 추구행동을 강화하고 이러한 긍정적 자아 효능감과 인지적 유연성을 기반으로 조직의 혁신과 효과성에 기여하는 창의적 행동을 향상한다는 가설을 관련 이론들과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기업 직장인 33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가설검 증은 부트스트랩 방식을 활용한 SPSS ProcessMacro 3.0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관리자의 코칭행동은 조직구성원의 창의적 행동, 심리적 임파워먼트, 피드백 추구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리자의 코칭행동과 창의적 행동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 와 피드백 추구행동은 부분매개와 다중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기업은 조직혁신을 이끄는 조직구성원의 창 의적 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관리자의 코칭행동 향상에 초점을 맞추어 효과적인 프로그램의 실행과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다양한 제도와 지원이 필요하며,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피드백 추구행동이 창의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효과적으로 향상하기 위 한 실질적인 기회를 제공하고 관련 조직문화를 구축할 필요가 있음을 컨설팅적 관점에서 제시하고 있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