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의 에너지마을과 일반마을의 색채 현황 분석

2016 
농촌경관을 아름답게 가꾸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지만 여전히 농촌마을에는 자연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대규모 시설, 주택 등의 원색계열 외장색채로 인해 자연환경과의 부조화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농촌의 급진적인 발전에 의하여 신재생에너지사업이 실시되며 지붕과 옥상에 설치된 태양광판으로 인해 농촌의 색채경관이 변화되어 점점 정체성이 상실되고 있는 상황이다. 무분별한 색채 사용과 시설들은 지역의 특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천편일률적인 형태로 분포하여 모든 농촌마을의 색채경관이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마을의 색채를 유형별로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먼저 농촌마을을 입지유형에 따라 구분하고 색채관리대상요소를 농촌마을 및 경관색채 관련연구 30건을 분석하여 자연환경요소(12)와 인공환경요소(20)를 도출하였다. 조사지역은 신재생에너지사업이 실시된 마을과 실시되지 않은 일반마을로 선정하여 총 6곳의 색채현황을 시감측색·사진측색법으로 근경·중경·원경에 따라 촬영하였다. 조사된 사진을 한국표준색 색채분석프로그램(KCSA)을 사용하여 색채 분포 그래프를 작성하고, 마을 유형별로 자연환경요소와 조화될 수 있는 색채계획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는 기존의 광범위한 농촌경관 색채계획이 아닌 마을의 입지유형별로 신재생에너지사업이 실시된 마을과 실시되지 않은 일반마을 색채계획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