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 플랫폼 경제로 가는 길

2018 
1. 글로벌 플랫폼 기업과 스타트업의 70%가 공유 플랫폼 경제를 표방하고 있을 정도로 4차 산업혁명 시대로 가는 변화의 원동력이 되고 있음 2. 공유경제는 가치 창출에 중심을 두고 있는 Sharing Economy와 가치 분배에 초점을 둔 Shared Economy로 확산되고 있는데, 두 얼굴의 공유경제는 궁극적으로 블록체인 기반 인터넷 2.0의 분산 공유 플랫폼에서 통합될 것임 3. 공유경제는 오프라인의 현실 세상에서 한계 효용 체감의 법칙 때문에 제한적이었던 반면, 온라인 세상에서 네트워크 효과와 거래비용(연결비용) 극소화로 인해 공유가 사회전체의 부를 창출하는 수단으로서 확산되고 있음 4. KCERN은 정보, 물질, 관계의 공유를 영리 혹은 비영리 목적에 따라 소비, 시장, 생산으로 분류하여 공유경제를 3*3*2 입체적 모델에 입각하여 정의내림 5. 공유경제를 뒷받침하는 하는 인프라는 플랫폼이며, 플랫폼 전체는 개방된 거버넌스하에서 상호경쟁하는 공유 플랫폼을 통해서 공진화하는 공유와 협력의 체계화된 공간이 될 것임 6. 가치 창출과 가치 분배가 지속적으로 선순환하는 관계가 공유경제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방향이며, 사회적 신뢰를 구축하기 위한 3대 국가 로드맵을 제시함 1) 정보의 공유: 공공 데이터 개방과 오픈소스 생태계 조성 2) 물질의 공유: 클라우드 활성화, 개인정보 활용 촉진, 공정 생태계 조성 3) 관계의 공유: 프로슈머 활성화, 긱 플랫폼 구축, 사회 안전망 구축 7. 공유플랫폼경제 국가 로드맵은 공유 플랫폼으로 자기 조직화하는 선순환 공유경제를 구현하기 위한 나침반이 될 것임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