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기능적 재무행동 개선을 위한 집단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 재무치료 접근

2020 
본 연구는 재무치료 접근을 도입하여, 소비통제의 어려움으로 인해 재무문제를 겪고 있는 소비자들의 재무건강 을 증진시키기 위한 4단계 재무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서 역기능적 사고를 수정하고 대처방안을 정립하는 데 적합한 방법을 제공하는 인지행동기법을 중심으로 해결중 심 재무치료, 행동변화를 위한 범이론적 모델, 변증법적 행동치료를 차용하였다. 또한 집단기반 프로그램이 역기 능적 재무행동 개선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낸 점을 참고하여, 심리교육(psychoeducational) 집단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본 교육프로그램은 4단계, 총 6회기로 구성되었다. 1단계 ‘현재 이해하기’는 현재 자신의 재무건강에 대해 이해 하고 변화에 대한 동기를 강화하기 위한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프로그램에 대한 전체적인 안내를 받고 재무목표 를 설정한다. 2단계인 ‘원인 찾아가기’는 2회기와 3회기로 이루어진다. 2회기에서는 인지행동치료 접근에 기초하 여 돈에 대한 가치나 생각의 근원이 되는 어린 시절 경험을 탐색하고 자신의 돈에 대한 신념을 발견하며, 비합리 적 자동적 사고에 대해 학습한다. 3회기에서는 합리적인 지출과 예산 교육을 받게 된다. 3단계 ‘대처행동 개발하 기’ 는 4회기와 5회기를 포함한다. 4회기에서는 좀더 심화된 인지행동 접근의 내용을 포함하는데, 돈에 대한 핵 심믿음을 찾고 자신의 신념을 평가, 수정해본다. 또한 TTM 행동변화단계에서 본인의 위치를 평가하고, 구매충 동 대처전략을 발굴한다. 5회기에서는 돈과 관련된 감정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대처기술을 배우며, 신용과 부채 관리에 대해서 배운다. 4단계 ‘재무건강 유지하기’는 지난 프로그램을 회고하면서 성취한 바를 장려하고, 프로그 램 이후의 장애물과 어려움에 대비하기 위한 회기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수행은 3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매주 1회 150분씩 4주간 총 15시간으로 실시되었으며, 양적, 질적 방법으로 그 효과가 검증되었다. 그 결과, 참여자들의 과소비행동과 돈에 대한 역기능적 신념, 재무불안이 감소 되고 지출통제능력, 재무관리행동, 재무안전감, 재무자신감, 재무건강이 증가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참여자 수 가 적고 통제집단 비교를 하지 못한 점에서 연구의 제한점이 있으나, 한국에서 역기능적 재무행동을 개선하기 위 해 재무치료를 접목한 최초의 프로그램으로서 잠재적인 효과성을 나타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