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e Triebkräfte in der Nationalökonomie

2009 
이 논문은 슘페터(J,A,Schumpeter, 1883 - 1950)의 여러 저서를 중심으로 기업가에 의한 新結合 혹은 革新의 관철, 이를 위한 은행의 신용창조 및 경제발전에 관한 그의 이론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는(슘페터) 실체는 외적 사건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그 자체의 논리에 의하여 야기된 流動에 끊임없이 처해 있는 것으로 보았다. 마찬가지로 슘페터는 자본주의 경제는 변화하지 않으면 존속할 수 없는 經濟秩序로 파악하고, 자본주의 경제에서 일어나는 변화과정을 분석하고 이러한 변화가 자본주의 경제질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연구하는 자본주의 경제의 변화를 설명하는 動學을 전개하였다. 그는 신결합의 관철에 따르는 새로운 기업의 등장과 소멸에 의해 자본주의 경제가 실제적으로 진행하는 과정으로서의 景氣循環을 설명하고 있다. 슘페터의 경제학의 발전에 대한 가장 큰 공헌은 기업가의 역할을 전면에 놓고, 이를 통하여 자본주의 경제체제의 변화를 동학적인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는 동학적 경제발전 이론을 전개하였다는 데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는 자본의 소유자가 반드시 기업가 기능을 소유하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지적하고, 자본가의 기능과 기업가의 기능을 분리하였다. 그리고 신결합의 간철에 필요한 자금 공급자로서의 은행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슘페터의 경제학 체계에서 기업가, 혁신의 관철과 은행의 신용창조가 자본주의 경제발전을 위한 추진자로서 부각되었다. 숨페터에 있어서의 진정한 경제의 지도자는 경쟁적인 시장이 아니라, 창조적인 기업가이다. 새로운 생산물을 도입하고, 자원개발과 기술진보를 구체화하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기업가에 의해 현재의 거대한 산업적 제국이 형성되었다고 슘페터는 보았다. 본고에서 경제에 내적인 변화요인이 도입될 경우, 경제발전이 어떻게 이루어지는 가를 살펴보는 데 연구를 한정하고, 경제발전이 구체적으로 어떤 형태로 전개되는가 하는 자본주의 경제의 경기순환 과정에 관한 분석 및 변화요인이 변질 내지 소멸되어 자본주의 질서가 어떻게 사멸할 것인가에 관한 분석은 별도의 기회에 시도하기로 한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