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앱 이용자의 서비스 편의성이 소비자의 신뢰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가치의 조절 및 신뢰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2019 
연구 동기는 모바일 앱 활용과 편의성의 인과관계를 파악해 보고자 하는데 있다. 오늘날 모바일의 사용은 상용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누군가는 모바일 앱을 통하여 공부를 하고, 누군가는 앱을 통하여 길을 찾아가고, 누군가는 음악을 듣고, 영화를 보는 등 생활과 분리할 수 없는 관계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Berry et al.(2002) 학자의 연구를 기초로 하여 서비스의 편의성 하부요인을 5개로 나누었다. 의사결정 편의성, 거래편의성, 접근 편의성, 편익편의성, 사후편의성으로 나누었으며 이들의 요소가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편의성과 신뢰 구매의도 관계에서 신뢰의 매개효과가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또한 서비스 편의성과 신뢰관계에서 지각가치의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신뢰와 구매의도 관계에서 지각가치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현대인에게 모바일 앱을 활용하여 무엇을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데 유용한 결정 도구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광고나 설명서를 보고 구매에 이르기까지의 단계에는 큰 불편함이 감소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모바일 환경의 변화, 모바일 속도 향상, 사용방법의 간소화 등을 들 수 있겠다. 셋째, 모바일 앱 애프터서비스와 관련된 것으로 매장은 모바일 앱으로 구입한 제품에 대해서도 철저한 서비스를 실천함으로써 모바일 앱 사후 편의성을 향상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고려된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