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Attachment on the Ego Resiliency of College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 Dysregulation

2018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애착과 자아탄력성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가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강원, 충청, 대구 지역의 대학생 315명을 대상으로 애착 척도, 정서조절 곤란 척도, 자아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의 상관분석 결과 애착불안과 애착회피는 정서조절곤란과 정적상관이 있고 자아탄력성과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정서조절곤란과 자아탄력성은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착과 자아탄력성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애착과 자아탄력성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통해 적응에 어려움을 보이는 내담자를 위한 치료적 개입의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