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문 : 화학적 , 대사적 산화반응중 생성되는 S - oxide 를 이용한 O - ethyl S - methyl ethylphosphonothioate (1) 의 독성 기작에 관한 연구

1991 
O,S-dialkyl alkylphosphonothioates 계열 유기인제 농약의 체내 작용기작을 이해하기 위하여 model 화합물 (1), O-ethyl S-methyl ethylphosphonothioate [LD_(50) (rat, oral) 4.6㎎/㎏ : K_i(bovine erythrocyte acetylcholinesterase) 303 M^(-1)min^(-1)]이 선정되었다. 이 유기인계 화합물들은 체내에서 活性化 과정을 겪으면서 毒性을 발현하는 것으로 假說되어져 왔다. 생체 내 mixed function oxidases에 의한 산화 활성화 과정을 化學的으로 재현하기 위하여 두 종류의 유기산화제 즉, meta-chloroperoxybenzoic acid와 monoperoxyphthalic acid가 사용되었고, 代謝的 산화를 재현하기 위하여 쥐 肝에서 추출한 microsomal oxidation system을 이용한 in vitro 산화반응이 시도되었다. 산화반응 중간생성물인 S-oxide의 존재가 전구물질(1)의 가설적 산화 반응경로를 통해서 간접적으로나마 충분히 확인 되어질 수 있었다. 더욱이 ethanol을 이용한 trapping실험에서 불안정한 산화중간물질인 S-oxide가 강한 phosphorylating agent라는 것이 확인되어, 전구물질 (1)로부터 산화반응을 거치면서 생성된 이 중간물질이 체내 신경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acetylcholinesterase를 phosphorylation하게 되고, 결국 이런 활성화 과정을 통해 이 계열의 화합물들이 독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었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