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linical Review of the Intussusception in Adult

2012 
목적: 성인 장중첩증은 소아에 비해 드문 질환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성인 장중첩증 환자를 조사하여, 성인 장중첩증의 진단방법과 치료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한림대학교성심병원에 입원하여 수술로 장중첩증이 확진된 성인 환자 25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중심으로 후향적 조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25예 중 남자가 14명, 여자가 11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55세(23-94세)였다. 복통이 21예(84%)로 가장 흔한 증상이었다. 수술 전 복부CT와 초음파검사로 총 25명 중 23예(92%)에서 수술 전 장중첩증을 진단할 수 있었다. 소장소장형은 9예로 전체의 36%를 차지하였으며, 회장결장형이 8예, 회장맹장형이 1예, 결장결장형이 7예였다. 악성질환이 12예(48%)로 가장 많았고, 양성질환은 10예(40%)였으며, 특발성은 3예(12%)에 불과하였다. 악성의 빈도는 원발병소의 위치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대장에서 10예 중 8예(80%)로 소장에서 12예 중 4예(33%)에 비해 훨씬 높았다. 전 25예에서 개복 수술을 시행하여 12예(48%)는 장절제술, 11예(44%)는 도수정복술 이후 장절제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성인의 장중첩증의 원인으로 악성종양이 차지하는 비율은 소장에 비해 대장에서 흔하며, 복부CT에서 선도점에 종괴가 보이거나 원인을 모르는 장폐색은 실험적 개복술을 고려해야 한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15
    References
    6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