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k Factors of Severity of Pressure Injuries in Acute University Hospital Inpatients

2020 
본 연구는 급성기 종합병원 입원 욕창환자에서 욕창 중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입원환자의 퇴원시 욕창악화에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수집한 자료를 이차자료 분석하였다. 원 연구는 2017년 5월부터 2018년 11월까지 일 급성기 대학병원에 입원한 만 18세 이상의 욕창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자료수집하 였다. 이차자료 분석에 입원시 욕창이 있었던 472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욕창 중증도에 따른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하 여, 표면욕창에 비해 중증욕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급성기 대학병원 입원 욕창환자는 전체 환자의 12.7%이었으며, 중증욕창은 그 중 19.1%이었다. 중증욕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성별, 체온과 환자의 기동력이 확인되었다. 입원 욕창환자에 대한 피부관리가 필요하며, 특히 기동력이 저하된 환자에게 체위변경 의 횟수 증가 및 욕창부위 압력완화를 위한 관리가 요구된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18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