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emergency safety knowledge and performance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safety education guidance factors by life cycle

2018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응급상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응급상황 안전지식 및 수행수준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여 유아교사의 안전지식 신념과 실천역량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광주·전남·전북의 유치원과 어린이집교사 3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연구결과 안전교육 이수 현황은 ‘연 5회 이하’가 가장 많았고, 안전교육의 주최는 ‘유아교육기관 내 자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호하는 안전교육내용 및 방법으로는 응급처치방법과 실습중심으로 나타났다. 응급상황 대처방법에 대한 지식정도는 불이 나거나, 이물질 흡입, 고열, 지진발생 등의 상황에 있어서 비교적 정확한 방법을 알고 있었고, 물림, 화상, 코에 물건 흡입 상황에 대해서는 잘못된 대처방법을 알고 있었다. 응급상황에 대한 유아교사의 안전지식 및 수행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안전지식정도에 비해 수행정도가 낮았으며, 특히 교통안전에 있어서 모든 하위영역의 지식과 수행에 대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안전교육은 실습위주의 프로그램 구성과 교사개인의 전문적 안전역량 향상을 위한 안전교육이 계획되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