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rrelation Analysis of Serum Creatinine Based eGFR and Serum Cystatin C Based eGFR with Thyroid Dysfunction Patients

2017 
혈청 크레아티닌 기반 eGFR과 혈청 Cystatin C 기반 eGFR을 측정하는 것은 신장기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가장 널리 이용되는 방법이다. 갑상선호르몬은 혈청 크레아티닌 기반 eGFR과 혈청 Cystatin C 기반 eGFR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갑상선기능이상 환자에게서 신장기능평가에 대한 위의 두마커의 임상적 의미는 아직 명료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갑상선기능이상 환자에서 혈청 크레아티닌 기반eGFR과 혈청 Cystatin C 기반 eGFR에 대한 갑상선호르몬의 영향과 상관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442명의 갑상선기능저하 환자와 284명의 갑상선기능항진 환자를 대상으로 갑상선호르몬과 혈청 크레아티닌 기반 eGFR, 혈청 Cystatin C 기반eGFR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갑상선기능이상 환자들에서 갑상선호르몬과 혈청 Cystatin C 기반eGFR이 갑상선호르몬과 혈청 크레아티닌 기반 eGFR보다 독립적으로 신장기능을 평가할수 있는 지표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갑상선기능이상 환자에서 혈청 Cystatin C 기반 eGFR이 혈청 크레아티닌 기반 eGFR보다 정확하게 신장의 기능을 반영할 수 있는 지표인 것을 알 수 있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16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