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relations Among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wareness and Utilization of Oral Hygiene Devices According to Patient Characteristics

2018 
이 연구는 치과내원 환자의 진료특성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구강관리용품에 대한 인지 및 사용,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관리용품에 대한 인지 및 사용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자료는 2013년 12월 2일에서 12월 31일까지 약 한 달 동안 대구시 일부 치과의원에 내원하는 592명 환자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조사를 하였다. 환자특성별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는 정기구강검진환자가 가장 높았으며, 구강관리용품 인지와 사용은 교정환자가 가장 높았다.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관리용품 인지 및 사용의 관련성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높을 수록 구강관리용품에 대한 인지는 높게 나타났으나 사용은 유의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강관리용품에 대한 인지가 높을수록 구강관리용품 사용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높은 환자는 구강관리용품 사용의 필요성을 못 느끼고 있는 반면, 치과를 자주 방문하거나 치과의료진으로부터 적극적인 구강관리용품 교육을 받은 교정환자나 임플란트 환자는 구강관리용품에 대한 인지나 사용이 높았다. 또한 구강관리용품에 대한 인지가 높은 환자일수록 사용이 높기 때문에 구강건강상태가 건강한 환자를 비롯하여 건강하지 못한 환자까지 치과를 방문하는 모든 환자에게 구강상태에 알맞은 구강관리용품의 홍보와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1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