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uage-icon Old Web
English
Sign In

Management of Atrial Fibrillation

1999 
심방세동은 심방의 4가지 주요 기능중 혈액 저장소 로서의 기능을 제외한 동결절에 의한 심박수 변속기능, 증폭 박출기(booster pump)로서의 기능, 방실판막 폐 쇄시 보조 기능 등을 상실하게 함으로써 혈역학적인 합 병증(저혈압, 폐부종, 협심증, 방실판막 폐쇄부전, 빈맥 성 심근증 등), 혈전색전성 합병증(심방혈전, 말초 색 전)과 부정맥성 합병증(심실빈맥, 심실세동, 동기능부 전, 방실전도차단)을 일으킨다. 혈역학적인 합병증은 심방수축의 소실과 빠르고 불규칙적인 심실율동에 의 해서 초래되고 혈전색전성 합병증은 심방수축의 소실 에 의해 생성된 심방 혈전에 의해 초래되며 부정맥성 합병증은 짧은 불응기를 가진 방실우회로를 통한 빠른 심실반응이나 심방세동의 율동조절을 위해 사용한 항 부정맥제의 부작용에 의해서 초래된다. 이같은 합병증 중 주로 문제가 되는 것은 혈역학적인 합병증과 혈전색 전성 합병증이다. 심방세동을 치료하는 목적은 심방세동으로 인해 생 길 수 있는 이같은 합병증을 예방하려는 것이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10
    References
    1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