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itoring of VHS and RSIVD in Cultured Paralichthys olivaceus of Jeju in 2015

2016 
제주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양식 산업은 우리나라 해 수어류 생산량의 약 50% 이상을 차지하는 중요한 산업이며, 최근에 양식 어류의 바이러스성 질병감염에 대한 보고가 점차 증가하고 있어 양식 산업 생산성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 우리 나라 양식넙치에 질병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주요 바이러스는 red seabream iridovirus (RSIV), lymphocystis disease virus (LCDV)와 같은 DNA 바이러스와 viral haemorrhagic septicaemia virus (VHSV), viral nervous necrosis virus (VNNV), hirame rhabdovirus (HRV), marine birnavirus (MABV) 등과 같은 RNA 바이러스 질병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그 중 수산생 물질병관리법에서 정하는 전염병으로 방역조치 대상 질병인 VHSV 및 RSIV는 최근 우리나라 양식넙치에 빈번히 발생하 여 바이러스성 질병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Cho et al., 2010). VHSV 감염은 담수산 연어과 어류인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 전염성이 강한 질병으로 알려져 왔으나, 이후에 담수 및 해수로 사육중인 다 른 연어과 어류나 다양한 어종에 감염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 다(Mortensen et al., 1999).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대부터 동 해안 지역의 넙치에서 처음 발병된 이후 수온이 낮아지는 겨울 과 봄에 걸쳐 대량 폐사를 일으켜 양식 산업에 큰 경제적 손실 을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지면서(Takano et al., 2000; Isshiki et 2015년 제주도 양식 넙치(Paralichthys olivaceus)를 대상으로 한 VHS 및 RSIVD 모니터링 박현경·전려진·김승민·박명애·조미영·황성돈·박신후·정현도·정준범*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20
    References
    1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