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Risk Information Component of Media and Knowledge on Risk Controllability - Focusing on Infectious Disease -

2017 
본 연구는 일반 대중이 지각하는 감염병 관련 미디어의 위험정보 구성요건과 지식이 위험통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내국인 1,000명을 대상으로 SPSS ver. 21 프로그램과 AMOS ver. 21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관관계 분석, 신뢰도 분석 및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 대중이 지각하는 감염병 관련 미디어 위험정보 구성요건이 지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미디어의 위험정보 구성요건은 지식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일반 대중의 감염병 관련 지식이 위험통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지식은 위험통제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일반 대중이 지각하는 감염병 관련 미디어의 위험정보 구성요건은 위험통제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미디어 위험정보 구성요건은 감염병 관련 지식을 높이고, 감염병 관련 지식은 감염병에 대한 공중의 위험통제성을 높이는 중요한 영향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29
    References
    1
    Citations
    NaN
    KQI
    []